레이블이 입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입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1년 2월 21일 일요일

공공기관 연구원에서 생존하는 방법

일단 공공기관 연구원 입사에 성공했다고 쳐. 이제 고생 끝 행복 시작이다! 라고 생각할 수 있어. 대체로 입사한 후, 세 달 동안은 밝은 얼굴로 일을 하더라고. 

그 이후에는 점점 얼굴이 어두워지더니 '뭐 이런 잣같은 조직이 다 있냐'고 욕을 하기 시작해. 그리고 '사람인' 사이트를 뒤져보기 시작하지.

아마 공공기관 연구원이라는 조직자체에 기대했던 바가 컸겠지. 우리 연구원 같은 경우에 몇몇은 쌍욕하면 사기업으로 이직을 하기도 했어. 

이번 시간에는 어렵게 들어온 공공기관 연구원에서 살아남기 위한 배경지식과 어떻게 하면 가늘고 길게 생존할 수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


사진 출처: https://pixabay.com/ko/photos/%EC%9E%90%EC%97%B0-%EB%AC%BC-%EB%B0%94%EB%8B%A4-%EC%88%98-%EC%A4%91-%EC%84%A0%EB%B0%95-2616239/



1. 연구원 조직은 어떤 식으로 구성되어 있나?

대개 제일 위에 원장실이 있고, 그 아래 연구기획조정실, 각종 센터와 본부가 있어. 그리고 그 아래 팀들로 구성되어 있지. 이것은 다른 연구원들도 다 비슷할 거야.


2. 업무는 어떤 방식으로 수행되나?

팀 베이스, 연구과제 베이스 두 가지 방식으로 업무를 수행하게 될거야. 팀 베이스 업무는 팀 고유 업무라고 생각하면 되고, 연구과제 베이스 업무는 어떤 연구과제의 연구진으로 포함되게 되었을 때 맡은 업무를 의미해. 

체계가 좀 잡혀있는 연구원 같은 경우에는 둘 중 하나의 방식으로만 운영이 되는데, 우리 연구원 같은 경우에는 뇌가 없고, 본인들이 고통받는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윗대가리들이 많아서 지들 멋대로 두 가지가 섞여서 운영되고 있어.

두 가지가 섞이면 잣같은 게 팀장이 시킨 업무와 연구책임자가 시킨 업무 우선순위때문에 양 쪽에서 욕을 맛있게 먹을 수밖에 없어. 다 지들 일을 제일 먼저 하라는 거야. 지들끼리 서로 조율을 해주면 될텐데 일반적으로 그런 수고는 안 하려고 하지. 

왜냐고? 나의 일이 아니니까!


3. '겸직 발령'과 '테스크포스(TF)'

이게 끝이냐. 노노. 시킬 일은 많은데 사람 수가 적으면, 사람을 더 뽑는 것이 정답이잖아? 근데 잣같은 연구원 경연진들은 맨날 인건비가 없어서 못 뽑는다고 해(신기하게 연말이 되면 없다던 인건비가 남아서 골칫거리가 되지). 그러면서 하는 짓이 '겸직 발령''테스크포스(task force, TF) 만들기'야.


(1) 겸직 발령

 '겸직 발령'이 뭐냐? 말그대로 A팀 소속이었던 팀원을 B팀 소속도 겸하게 하는 거야. 만약에 10명이 있는데, 이 10명이 A팀과 B팀에 겸직 발령을 받으면 문서 상으로는 20명(A팀 10명+B팀 10명= 20명)이 되는 마법같은 일이 생기는 거지. 자, 그럼 인원이 늘었으니 일도 더 많이 해야겠네 하면서 업무를 막 때려박는 거야. 

한 사람한테 많게는 3개의 팀에 겸직 발령을 내는 경우도 있어. 한 사람이 3팀의 업무를 동시에 해야 한다고 생각해 봐. 정상적인 뇌를 가진 경영진이라는 효율성과 노동생산성을 생각해야 하는데, 윗대가리들은 어차피 본인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니까 부하가 겸직을 얼마나 하든 별 상관 안 해. 

부하가 하는 일이지 자기가 하는 일이 아니니까!


(2) TF

'TF'는 뭐냐? 그냥 이벤트 성 업무가 주어지면 여러 팀에 있는 사람을 끌어모아서 임시팀을 만드는 거지. 예를 들어 매년 연초에 기관 경영평가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니, 경영평가 TF를 만들어 다 함께 보고서를 작성하는 거야. TF에 들어간다고 원래 주워진 업무가 줄어들까? 그건 아니지. 팀업무나 연구과제업무는 원래 해야하는 일이고, TF 업무는 전사적인 업무니까 그 업무도 니 일이 되는 거야.

우리 연구원 같은 경우 상시로 3~4개 TF가 돌아가고 있어서 거기에 들어간 실무자들은 지옥을 보고 있지. 어차피 팀장, 부서장, 센터장, 원장 이런 사람들은 입으로만 일하니까 TF가 100개가 생겨도 별 상관 안 해. 실무자들만 죽어나는 거지.


4. 조직 개편

주로 원장이 새로 임명되면 '조직 개편'이라는 것이 대대적으로 실행돼. 말 그대로 기존에 있던 조직을 새 원장의 입맛에 맞게 바꾸는 거지. '조직 개편'이 시행되면 팀장이나 부서장, 센터장 같은 보직자들도 물갈이가 되고, 팀도 해체되거나 새로 생기게 되면서 팀원들도 새로 구성되지. 

우리 연구원은 워낙 체계적이라 원장이 바뀌지 않았어도 매년 조직개편을 한 적도 있어. 임직원 수가 몇 천명 있는 기관도 아니고, 그 사람이 그 사람인데 뭐하러 자주 조직 개편을 하는지 ...

'조직 개편' 시 연구원 돌아가는 것을 보면 '각자도생'이 뭔지를 알 수가 잇어. 차기 팀장으로 지명 받은 사람은 같이 일할 팀원들 끌어모으려고 물밑에서 수시로 펌프질을 하고, 소속 팀을 변경하고 싶은 하위 직급자들도 끊임 없이 로비를 하지. '조직 개편' 전에 보직자 였던 사람들은 '조직 개편' 후에도 보직을 놓지 않으려고 발광을 해.

이 때 소위 잘나가는 사람들이 먼저 간택을 받으면, 나머지 떨거지들은 남는 자리에 뿌려지는 형태로 인력 배치를 하게 돼.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개개인의 적성에 맞게 뿌려질 거라는 기대는 하지마. 인적자원 관리는 따위는 개한테나 줘버리라는 마인드로 윗대가리들이 알아서 느낌나는 대로 뿌리는 거니까.  

정식으로 발령이 나기 전 구두로 통보를 받는데, 마음에 들지 않는 팀으로 발령이 날 예정이라는 것을 안다면?

실제 몇몇 사람들이 팀장이나 부서장을 찾아가서 질질 짜거나 지랄을 하는 것을 본 적이 있는데 진짜 발령부서가 바뀌긴 하더라. 저런 자세도 연구원에서 살아남으려면 필요한 덕목이긴 한 거 같아.


5. 신규입사자에 대한 관리

신규입사자가 팀에 배정이 되면, 팀 선배들의 따뜻한 관심과 배려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어. 그러나 신규입사자들이 막상 배정을 받고, 자리에 앉아 있으면 말 걸어주는 선배들은 별로 없을 거야. 

개인주의가 강해서 누가 새로 왔든 관심이 없거든. 그냥 간단히 인사하고, 각자 자기 할일 계속하다가 점심에 신규입사자 환영 팀회식 한 번 하고 끝이지.

요새는 저녁 회식은 거의 하지 않는 편이라서 음주가무를 즐기지 않는 신규입사자들에게 좋을 거야. 하지만 그 만큼 팀원 간의 끈끈한 관계 형성이 안 되니 신규입사자들도 팀에 대한 소속감 같은 것은 별로 느끼지 못하는 것 같더라고. 

연구원 차원에서 신규입사자를 위해 멘토나 멘티 매칭도 몇 번 시도해 보긴 했는데 흐지부지되서 더 이상 운영하지 않고 있어.

신규입사자에게 업무에 대해 가르쳐 주는 사람은 주로 팀선배들이야. 팀에 따라 사람에 따라 워낙 유형이 천차만별이라 맨투맨으로 친절하게 가르쳐 주는 선배가 있는가 하면, 책자 하나 던져주고 알아서 하라는 선배도 있지.

요즘 입사한 신규인력들을 보면 점심식사도 팀선배과 먹지 않고, 주로 동기들과 같이 먹더라고. 예전에는 그래도 점심식사는 팀원들끼리 먹었거든. 점심시간은 개인 시간이니 보기 싫은 사람이랑 같이 있기 싫은 거겠지...


6. 그래서 공공기관 연구원에서 살아남으려면 어쩌라는 거임?

 

(1) 최소 부연구위원 이상 직급으로 입사해라

부연구위원 이상으로 입사하면 아무리 업무수행 능력이 병신같아도 아래 직급시켜서 수습하면 되니까 어떻게든 해결은 된다. 그 실무자는 지옥을 보겠지만...


(2) 업무 능력을 100% 보여주지마라

업무 수행 능력이 너무 뛰어나면 모든 일이 당신에게 몰릴 것이다. 운이 좋으면 승진도 빨리 되겠지만, 운이 나쁘면 승진은 커녕 일만 죽도록 하다가 버려진다. 

단적인 예로 우리 연구원 같은 경우는 업무 능력이 좋으면 일 잘한다고 일을 다 몰아주고, 업무 능력이 나쁘면 일을 안 시킨다. 평가는 좀 안 좋게 받겠지만 그래봐야 월급으로 10만 원 차이도 안 난다. 그렇다면 차라리 일 안하고 월급 10만 원 덜 받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다.


(3) 특정 업무에 스페셜리스트가 되지마라

당신이 특정 업무의 스페셜리스트가 된다면 아마 그 일은 퇴사할 때까지 당신을 따라 다닐 것이다. 그것은 당신의 팀이 달라진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연구원에서는 당신의 의사따위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냥 당신이 여태까지 그 일을 해왔으니 적임자가 되는 거다. 물론 다른 업무가 있어도 업무는 줄여주지 않는다. 그 일도 니일, 이 일도 니 일이 되는 거다.


(4) Yes맨이 되지마라

당신이 주위 사람들의 요청이나 요구에 무조건 yes하는 순간, 당신은 그들에게 호구로 낙인 찍힐 것이다. 때로는 일년에 한 두번 정도 미친넘처럼 화끈하게 지랄하거나 따지는 것도 필요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어느 새 남의 업무까지 모두 당신의 업무가 되는 마법을 보게 될 것이다. 


(5) 업무로 자아실현을 할 수 있다고 착각하지 마라

솔직히 부연구위원 이상이 되지 않으면 업무로 자아실현할 확률은 거의 0%라고 보면 된다. 연구원 조직에서는 그 아래 직급은 대부분 꼬붕이라고 보기 때문에 발언권도 없고, 의견이 받아들여지지도 않는다.

그래서 초반에 의욕이 충만했던 사람들도 윗대가리들의 병신같은 업무지시로 노예화되거나 이직을 준비한다. 

정말 충고하건데, 자아실현을 하고 싶으면, 연구원 밖에서 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제 연구원을 원화채굴하는 곳 이상으로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 연구원은 돈버는 곳이지, 자아실현을 하는 곳은 절대 못 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당신이 연구원에 무엇을 기대하든, 연구원은 그 이상의 병신짓을 할 것이다.


(6) 라인을 잘타라

연구원도 사람사는 곳이다 보니 정치질로 승승장구하는 사람이 많다. 어차피 원화채굴을 위해 일하는 것이니 주둥이로 일하는 것이 제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당신을 보호해줄 상사를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떻게 해서든 부서장급 이상 보직자의 눈에 들어라. 개인적인 일을 해달라고 해주면 해주고, 술을 마시자고 하면 마셔라. 그러면 업무성과와는 상관없이 쭉쭉 나갈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다.


(7) 해초처럼 살아라

해초는 물살에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지만, 뿌리채 뽑혀나가지 않는다. 연구원 생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뇌를 비우고 위에서 병신같은 일을 시켜도 그러려니 하면서, 업무를 수행해라. 

그 업무의 옳고 그름, 효율성과 비효율성 따위는 본인의 뇌로 판단하지 마라. 판단하면 멘탈이 흔들리면서 홧병이 생길 수 있다. 그냥 '나는 해초다' 라고 자기최면을 끊임없이 걸면서 뇌를 비우고 기계처럼 일한다면, 가늘고 길게 연구원에서 원화채굴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상 해초처럼 살아가는 것이 이직을 생각하지 않고, 돈을 버는 목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하위 직급자들에게는 가장 실행하기 쉬운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2021년 2월 12일 금요일

공공기관 연구원의 채용절차와 간단한 팁!

얼마 전 내가 일하고 있는 연구원에 면접보러 온 사람들이 대기하고 있는 걸 본 적이 있어. 바야흐로 채용시즌이 돌아온 거지. 

요새 청년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취업이잖아. 그래서 공공기관 연구원에 입사하기 위해서는 어떤 채용절차를 거쳐야 하는지에 대해서 간단히 말해볼까해.

주로 내가 소속되어 있는 연구원을 기준으로 작성한 내용이니까 타 연구원의 채용절차와 다를 수도 있으니 유의하도록 해. 


출처: https://pixabay.com/ko/photos/%EB%B9%84%EC%A6%88%EB%8B%88%EC%8A%A4-%EC%A7%81%EC%9B%90-2584713/


1. 채용절차는?

일반적으로 정규직(무기계약직 포함) 채용 절차는 서류전형 →필기전형→면접전형 세 단계로 진행돼. 



2. 서류전형에 주의해야 할 사항은?

내가 일하고 있는 연구원 같은 경우에는 서류전형 심사는 주로 팀장급이 하고 있어. 연구원 내 팀장이 10명 정도 되니 한 사람이 백명 정도 분량의 자기소개서를 평가한다고 해. 평가자들도 사람인지라 너무 많은 글을 읽다보니 장황하고 비문이 많은 글에는 좋은 점수를 주지 않는다군.  

서류전형은 블라인드(blind) 방식이라서 성명, 학교, 부모님 직업 등 개인식별이 가능한 정보를 노출시키면 불합격 처리된다고 해. 실제로 스펙은 엄청 좋은데 서류전형에서 개인정보를 노출시켜서 바로 불합격 처리된 경우도 많다고 하더군.

이 글을 읽는 사람이 가장 궁금해 할 사항은 어떤 기준으로 평가하는가겠지? 친한 팀장한테 물어보니 주로 경력을 보고, 경력이 없을 경우 실무에 투입할 수 있을지 여부를 평가한다고 해. 

예를 들어 지원한 분야가 데이터 분석 분야인 경우, 실제로 데이터 분석 수행 경험이 있는지, 있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프로젝트였고, 그 프로젝트에서 어떤 포지션이었는지, 사용할 수 있는 통계 프로그램은 무엇인지 등의 내용을 자기소개서나 직무능력소개서에 간결하면서 정확하게 기술하는 것이 좋아. 

구구절절하게 작성해봐야 심사자들이 스킵(skip)한다고 하니 참고하도록 해. 



3. 필기전형에서는 주로 무엇을 평가하나?

필기전형이야말로 진검승부지. 공공기관은 일반적으로 (연구원 고유의)인적성검사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필기전형(직업기초능력평가와 직무수행능력평가)을 적용한 경우가 대부분이야. 

내가 일하고 있는 연구원의 경우 필기전형은 절대평가(일정 점수 이상이면 합격)가 적용된다고 알고 있어. 솔직히 내가 경험한 필기전형은 직무 관련 주관식 시험이 전부였기 때문에 요즘 시행되는 필기전형에 대해서는 별로 해줄 수 있는 말이 없네. 



4. 면접전형은 어떻게 진행되나?

다대다 방식(면접관 여러 명이 면접자 여러 명을 대상으로 면접 수행)으로 진행돼. 면접관은 3~5명 정도 참여하고, 공정한 평가를 위해 외부인사도 면접관에 참여시키는 추세야. 
내가 면접을 봤을 때 받은 질문은 아래와 같았으니 참고해. 


  • 먼저 간단하게 자기소개 해보시오
  • 여기가 어떤 일을 하는 기관인지 아나?
  • 이 기관이 어떤 점에서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나?
  • OO제도(연구원 업무과 관련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그렇다면 그 이유도 설명해 봐라
  • 이전 직장에서 어떤 업무를 했나?
  • 이전 직장에서 얻은 경험들이 여기서 어떻게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하나?
  • 어떤 연구과제에서 어떤 포지션을 담당했나? 통계분석도 가능한가?
  • 조직생활에서 트러블이 생겼을 때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 입사 후 계획은 무엇인가?
  • 면접관들에게 꼭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해보시오

 

면접전형도 블라인드 방식이니까 개인정보를 노출시키면 안돼. 질문에 대답할 때는 가능한 한 짧고 명확하게 말하는 것이 좋아. 말을 길게 하게 되면, 나중에는 꼭 꼬이더라고.

면접전형에서 면접관들이 본인에게 질문을 안 해도 실망할 필요없어. 뭔가 어중간한 사람에게 질문을 많이해서 옥석을 가리는 경우도 있으니까.



5. 공공기관에는 내정자가 있다는데 사실인가?

5~6년 전 공공기관 채용에 NCS가 도입되기 전에는 확실히 내정자가 있었어. 그러나 현재는 내정자가 있다고 해도 필기전형에서 대부분 걸러지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돼. 

요새는 취업난이 너무 심해져서 고스펙 지원자들이 많기 때문에 원내에서 현재 계약직으로 일하는 직원들조차 면접전형까지 갔어도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입사 지원한 기관에서 6개월 혹은 1년 이상 근무한 경험이 있으면 가산점은 받을 수 있어.



6. 경쟁률은 어떤가?

내가 일하고 있는 연구원의 경우에는 행정직은 수백대 일, 연구직은 수십대 일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 행정직이 아무래도 연구직보다 진입장벽이 낮으니까 경쟁률이 높다고 해. 

우리 연구원처럼 규모가 작은 기관이 이 정도니까 다른 기관도 마찬가지이거나 더 높을 거야.



7. 입사할 경우 연봉협상은 하나?

내가 아는 한 공공기관 연구원에서 연봉협상 같은 것은 하지 않아. 그냥 주는대로 받아 먹으라고 할 뿐. 너말고도 일할 사람 줄 서 있으니까 싫으면 나가라는 마인드라고 보면 돼. 

참고로 내가 일하는 연구원의 올해 연봉인상률은 0.9%야. 그것도 전년도 업무수행 평가결과 B이상 등급일 경우에만 0.9% 인상되고, 낮은 등급을 받을 경우는 인상률이 더 낮아(S, A, B, C, D 등급이 있음). 예전에는 동결된 경우도 있었어.



8. 정규직과 무기계약직의 차이점은?

정부에서는 무기계약직도 정규직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데, 실상은 차이가 크지. 둘 다 쉽게 잘리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비슷하기는 해. 그러나 무기계약직은 시간이 지나도 직급이 올라가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어. 즉, 입사했을 때 직급이 연구원이면 100년이 지나도 연구원인거야.

직급이 올라가지 않으면 어떤 불이익이 있을까? 우선, 승진이 안 되니 승진에 따른 큰 폭의 연봉 상승을 기대할 수 없어. 경력에 따라 다르지만 한 직급 승진할 때마다 연봉이 10~20% 정도 상승하거든. 그리고 팀장이나 본부장 같은 보직자가 되기 힘들어지겠지. 보직은 보통 일정 직급 이상의 사람들이 맡게 되거든.  

무기계약직도 승진체계가 있는 연구원도 있다고는 하는데, 그리 많지는 않겠지. 그러니 왠만하면 정규직으로 입사하는 것이 미래의 연봉 상승에 큰 도움이 되겠지.



9. 끝으로 하고 싶은 말

이렇게 험난한 채용절차 끝에 입사를 하면 장미빛 미래가 펼쳐진다고 생각하겠지만, 그때부터가 지옥의 시작이라고 생각하면 돼. 마치 미지근한 물 속에서 서서히 삶아지는 개구리의 삶과 같은 거지. 

실제로 입사 후 몇 개월다니가 '뭐 이런 O신같은 회사가 다 있어'하고 퇴사하는 경우도 꽤 많아. 

입사 후 잣같아질 연구원 생활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소개할게. 그럼 다들 건승!


  

 

 



공공기관 연구원에서 생존하는 방법

일단 공공기관 연구원 입사에 성공했다고 쳐. 이제 고생 끝 행복 시작이다! 라고 생각할 수 있어. 대체로 입사한 후, 세 달 동안은 밝은 얼굴로 일을 하더라고.  그 이후에는 점점 얼굴이 어두워지더니  '뭐 이런 잣같은 조직이 다 있냐'...